성남 시니어산업혁신센터가 주관하는 2024년 제3회 고령친화산업 산학연관 네트워크 포럼에서 발표될 예정인 "식품사업가를 위한 지식재산권 전략" 강의는 엄정한 변리사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강의 자료를 기반으로 합니다. (강의자료는 최하단에 PDF 첨부파일 다운로드 가능)
엄정한 음식특허 2024.10.24
주요 주제
- 특허와 디자인권의 중요성과 차이점
- 음식 특허의 마케팅 효과와 권리적 한계
- 특허 출원과 등록의 중요성과 방법
다음 할 일
- 특허 포트폴리오 확장 계획 수립
- 상표 출원 및 디자인권 관리 계획 수립
- 음식 특허 마케팅 전략 수립
요약
식품 사업가를 위한 지식재산 전략
- 특허법인 BLT의 엄정한 변리사가 식품 사업가를 위한 지식재산 전략 주제 발표를 함
곰표 밀맥주, 상표권 분쟁
- 세븐브로이가 레시피를 특허로 등록을 받았어야함
- 상표권을 관리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함
- 물건을 만들지 않고도 돈을 받을 수 있는 돈을 벌 수 있는 좋은 방법임
음식 특허의 종류
- 특허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고도화해야 함
- 음식 분야에서도 특허를 많이 냄
- 음식 특허는 주로 음식 소스 조리 방법이 많음
- 음식 만드는 장비나 설비를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음
- 실용신안은 특허랑 똑같은데 좀 쉬운 거임
- 작은 발명은 실용신안으로 권리를 확보할 수 있음
- 디자인권은 물품의 형상을 권리화할 수 있음
백종원, 대패 삼겹살 특허 출원
- 상표는 보통 명칭도 상표를 받을 수 있음
- 백종원 씨가 대패 삼겹살에 대해서 특허를 냈다고 하는데 엄밀하게는 기자분이 잘 모르고 쓰신 것임
- 대패 삼겹살은 특허가 없음
- 백종원 씨가 대패 삼겹살이라는 말을 쓰면 백종원 씨가 경고장을 보내면 메뉴판에서 대패 삼겹살에다가 스티커를 붙여야 함
- 백종원 씨가 대패 삼겹살이라는 말을 그냥 쓰라고 하는 상황임
- 백종원 씨가 상표 출원을 1996년에 처음으로 함
더본 코리아의 디자인권
- 상표 포트폴리오를 확장을 하면 됨
- 더본 코리아에서 가지고 있는 디자인권이 2개가 있는데 음식용 그릇은 특허를 받기는 고도화돼 있지 않아서 실용신안으로 출원하거나 디자인으로 보호받으면 됨
- 소멸된 디자인권은 15년이 지나면 소멸이 되기 때문에 다용도 용기라고 하는 게 있는데 주판같이 생겼지만 굉장히 재미있는 디자인임
- 백종원 씨가 쌈밥집에서 중요한 건 고기도 중요하지만 쌈을 할 수 있는 쌈 채소가 어떻게 보여지는가 되게 중요하다라고 생각하신 것 같음
백종원의 골목 식당
- 백종원 씨가 골목 식당에서 멘토링을 했던 회사 중에 회사를 하는구나 음식점 사장님 중에 덮죽을 만드신 분이 있었음
- 방송에 나가고 나서 다른 회사에서 상표 출원해버림
- 사회적으로 이슈가 많이 됐었음
- 특허 상표 디자인 이런 지식재산권에 대해서 알고 계셔야 됨
음식 특허의 마케팅 효과
- 다금바리 회뜨는 특허
- 음식 특허는 굉장한 특허 마케팅 효과가 있음
- 음식 특허는 권리적으로는 세지 않지만 마케팅 효과가 좋음
특허 받은 계란말이
- 특허 받은 계란말이를 만든 친구가 부산에 가서 음식점을 차렸는데 특허를 받을 수 있는지 물어봄
음식 특허의 조건
- 음식 특허는 음식에 차별 포인트가 있어야
이삭 토스트의 소스 특허
- 소멸된 김찬호 사장님의 소스 특허는 유지하기 위해서 15년 동안 꾸준히 돈을 내왔음
- 소스 특허는 청구항에 발명이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 써 있는 것임
- 특허 출원 확인증으로 출원과 동시에 음식 특허를 홍보할 수 있음
여명808의 숙취 해소제
- 오리나무 추출물과 마가목 추출물로 구성된 숙취 해소용 천연 차는 여명808밖에 있을 수가 없음
- 남종현 회장님이 숙취 해소제를 먹고 실험을 해서 숙취 해소 효과가 있다는 걸 처음 발견함
- 경쟁사들은 컨디션 등은 게 껍질에서 나오는 키토산, 콩나물이나 이런 데서 나오는 물질들, 강황 칼에 쓰이는 강황 이런 거 많이 씀
- 계룡시에서 미나미라고 하는 화가자 브랜드를 하셨던 분이 2013년도에 저를 찾아와서 화과자를 만들었는데 디자인권을 받아야 된다고 해서 만들어드림
- 디자인권 확보는 되게 중요함
교촌치킨, 로봇 활용한 치킨 조리
- 특허가 어려울 때는 디자인권을 확보하자고 함
- 조리기구 같은 경우에는 디자인권을 해놓는 게 좋다고 함
- 교촌치킨 관련해서는 로봇이 많이 들어가고 있음
특허 상표 디자인권
- 특허 상표 디자인 잘 모르면 빼앗김
- 특허는 강력한 특허는 아니니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음
- 상표는 무조건 선정해야 함
- 디자인권은 상당히 쏠쏠함
이 강의는 식품사업을 운영하는 사업가들이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실제 사례를 통해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먼저 디자인권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디자인권은 물품의 외관적 특징을 보호하는 권리로, 주로 포장용기, 음식의 외관 디자인, 조리도구 등에 적용됩니다. 강의에서는 더본코리아의 사례를 통해 디자인권의 실질적인 활용 방법을 보여줍니다. 더본코리아는 다양한 포장 용기와 음식 디자인을 보호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식품사업가들이 제품의 외관적인 차별성을 보호하는 데 있어 디자인권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상표권에 대한 부분도 강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상표권은 특정 브랜드나 제품명을 보호하는 권리로, 빽다방과 같은 프랜차이즈의 상표권 확보 사례를 통해 그 중요성이 설명됩니다. 특히, 이경규의 '꼬꼬면' 상표 출원 사례는 단순히 메뉴명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브랜드 가치와 시장 내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상표권은 메뉴명, 가게 이름, 기업명 등에 적용되며, 이를 선점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신속한 상표 출원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덮죽 사건과 같은 최근의 사례를 통해 상표권 선점의 중요성도 구체적으로 다루어집니다.
특허권 또한 식품사업에서 매우 중요한 지식재산권 중 하나로 언급됩니다. 강의에서는 백종원의 '만두 제조 장치' 특허 사례를 통해 특허권이 식품 제조 장비나 소스 제조 방법 등 기술적 혁신을 보호하는 데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또한, 이삭토스트의 '소스 제조 방법'과 관련된 특허 청구항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발명이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합니다. 이러한 특허권을 통해 경쟁사와 차별화된 기술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강의에서는 여명808과 같은 건강 음료의 특허권 확보 사례도 다룹니다. 여명808은 특허권을 통해 건강 음료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확보한 대표적인 사례로, 이러한 특허 전략이 제품의 고유성을 유지하고 시장 내 독점적인 입지를 구축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음식 특허의 마케팅 효과에 대한 논의가 있다. 계란말이 특허와 같은 사례를 통해 요리법 또한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특허가 제품의 기술적 보호뿐만 아니라 마케팅적으로도 큰 효과를 낼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특허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으며, 이는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강의는 이러한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특허, 상표, 디자인권이 식품사업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식품사업가들이 제품과 브랜드를 보호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성남 시니어산업혁신센터가 주관하는 2024년 제3회 고령친화산업 산학연관 네트워크 포럼에서 발표될 예정인 "식품사업가를 위한 지식재산권 전략" 강의는 엄정한 변리사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강의 자료를 기반으로 합니다. (강의자료는 최하단에 PDF 첨부파일 다운로드 가능)
엄정한 음식특허 2024.10.24
주요 주제
- 특허와 디자인권의 중요성과 차이점
- 음식 특허의 마케팅 효과와 권리적 한계
- 특허 출원과 등록의 중요성과 방법
다음 할 일
- 특허 포트폴리오 확장 계획 수립
- 상표 출원 및 디자인권 관리 계획 수립
- 음식 특허 마케팅 전략 수립
요약
식품 사업가를 위한 지식재산 전략
- 특허법인 BLT의 엄정한 변리사가 식품 사업가를 위한 지식재산 전략 주제 발표를 함
곰표 밀맥주, 상표권 분쟁
- 세븐브로이가 레시피를 특허로 등록을 받았어야함
- 상표권을 관리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함
- 물건을 만들지 않고도 돈을 받을 수 있는 돈을 벌 수 있는 좋은 방법임
음식 특허의 종류
- 특허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고도화해야 함
- 음식 분야에서도 특허를 많이 냄
- 음식 특허는 주로 음식 소스 조리 방법이 많음
- 음식 만드는 장비나 설비를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음
- 실용신안은 특허랑 똑같은데 좀 쉬운 거임
- 작은 발명은 실용신안으로 권리를 확보할 수 있음
- 디자인권은 물품의 형상을 권리화할 수 있음
백종원, 대패 삼겹살 특허 출원
- 상표는 보통 명칭도 상표를 받을 수 있음
- 백종원 씨가 대패 삼겹살에 대해서 특허를 냈다고 하는데 엄밀하게는 기자분이 잘 모르고 쓰신 것임
- 대패 삼겹살은 특허가 없음
- 백종원 씨가 대패 삼겹살이라는 말을 쓰면 백종원 씨가 경고장을 보내면 메뉴판에서 대패 삼겹살에다가 스티커를 붙여야 함
- 백종원 씨가 대패 삼겹살이라는 말을 그냥 쓰라고 하는 상황임
- 백종원 씨가 상표 출원을 1996년에 처음으로 함
더본 코리아의 디자인권
- 상표 포트폴리오를 확장을 하면 됨
- 더본 코리아에서 가지고 있는 디자인권이 2개가 있는데 음식용 그릇은 특허를 받기는 고도화돼 있지 않아서 실용신안으로 출원하거나 디자인으로 보호받으면 됨
- 소멸된 디자인권은 15년이 지나면 소멸이 되기 때문에 다용도 용기라고 하는 게 있는데 주판같이 생겼지만 굉장히 재미있는 디자인임
- 백종원 씨가 쌈밥집에서 중요한 건 고기도 중요하지만 쌈을 할 수 있는 쌈 채소가 어떻게 보여지는가 되게 중요하다라고 생각하신 것 같음
백종원의 골목 식당
- 백종원 씨가 골목 식당에서 멘토링을 했던 회사 중에 회사를 하는구나 음식점 사장님 중에 덮죽을 만드신 분이 있었음
- 방송에 나가고 나서 다른 회사에서 상표 출원해버림
- 사회적으로 이슈가 많이 됐었음
- 특허 상표 디자인 이런 지식재산권에 대해서 알고 계셔야 됨
음식 특허의 마케팅 효과
- 다금바리 회뜨는 특허
- 음식 특허는 굉장한 특허 마케팅 효과가 있음
- 음식 특허는 권리적으로는 세지 않지만 마케팅 효과가 좋음
특허 받은 계란말이
- 특허 받은 계란말이를 만든 친구가 부산에 가서 음식점을 차렸는데 특허를 받을 수 있는지 물어봄
음식 특허의 조건
- 음식 특허는 음식에 차별 포인트가 있어야
이삭 토스트의 소스 특허
- 소멸된 김찬호 사장님의 소스 특허는 유지하기 위해서 15년 동안 꾸준히 돈을 내왔음
- 소스 특허는 청구항에 발명이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 써 있는 것임
- 특허 출원 확인증으로 출원과 동시에 음식 특허를 홍보할 수 있음
여명808의 숙취 해소제
- 오리나무 추출물과 마가목 추출물로 구성된 숙취 해소용 천연 차는 여명808밖에 있을 수가 없음
- 남종현 회장님이 숙취 해소제를 먹고 실험을 해서 숙취 해소 효과가 있다는 걸 처음 발견함
- 경쟁사들은 컨디션 등은 게 껍질에서 나오는 키토산, 콩나물이나 이런 데서 나오는 물질들, 강황 칼에 쓰이는 강황 이런 거 많이 씀
- 계룡시에서 미나미라고 하는 화가자 브랜드를 하셨던 분이 2013년도에 저를 찾아와서 화과자를 만들었는데 디자인권을 받아야 된다고 해서 만들어드림
- 디자인권 확보는 되게 중요함
교촌치킨, 로봇 활용한 치킨 조리
- 특허가 어려울 때는 디자인권을 확보하자고 함
- 조리기구 같은 경우에는 디자인권을 해놓는 게 좋다고 함
- 교촌치킨 관련해서는 로봇이 많이 들어가고 있음
특허 상표 디자인권
- 특허 상표 디자인 잘 모르면 빼앗김
- 특허는 강력한 특허는 아니니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음
- 상표는 무조건 선정해야 함
- 디자인권은 상당히 쏠쏠함
이 강의는 식품사업을 운영하는 사업가들이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실제 사례를 통해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먼저 디자인권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디자인권은 물품의 외관적 특징을 보호하는 권리로, 주로 포장용기, 음식의 외관 디자인, 조리도구 등에 적용됩니다. 강의에서는 더본코리아의 사례를 통해 디자인권의 실질적인 활용 방법을 보여줍니다. 더본코리아는 다양한 포장 용기와 음식 디자인을 보호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식품사업가들이 제품의 외관적인 차별성을 보호하는 데 있어 디자인권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상표권에 대한 부분도 강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상표권은 특정 브랜드나 제품명을 보호하는 권리로, 빽다방과 같은 프랜차이즈의 상표권 확보 사례를 통해 그 중요성이 설명됩니다. 특히, 이경규의 '꼬꼬면' 상표 출원 사례는 단순히 메뉴명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브랜드 가치와 시장 내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상표권은 메뉴명, 가게 이름, 기업명 등에 적용되며, 이를 선점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신속한 상표 출원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덮죽 사건과 같은 최근의 사례를 통해 상표권 선점의 중요성도 구체적으로 다루어집니다.
특허권 또한 식품사업에서 매우 중요한 지식재산권 중 하나로 언급됩니다. 강의에서는 백종원의 '만두 제조 장치' 특허 사례를 통해 특허권이 식품 제조 장비나 소스 제조 방법 등 기술적 혁신을 보호하는 데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또한, 이삭토스트의 '소스 제조 방법'과 관련된 특허 청구항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발명이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합니다. 이러한 특허권을 통해 경쟁사와 차별화된 기술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강의에서는 여명808과 같은 건강 음료의 특허권 확보 사례도 다룹니다. 여명808은 특허권을 통해 건강 음료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확보한 대표적인 사례로, 이러한 특허 전략이 제품의 고유성을 유지하고 시장 내 독점적인 입지를 구축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음식 특허의 마케팅 효과에 대한 논의가 있다. 계란말이 특허와 같은 사례를 통해 요리법 또한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특허가 제품의 기술적 보호뿐만 아니라 마케팅적으로도 큰 효과를 낼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특허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으며, 이는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강의는 이러한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특허, 상표, 디자인권이 식품사업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식품사업가들이 제품과 브랜드를 보호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문의 : 엄정한 변리사 010-2393-5709 / shawn@BLT.kr